여름만 되면 되돌이표처럼 걱정을 안 할 수 없는 전기세!!

여기저기 기사를 찾다보니 지금껏 너무 잘못된 에어컨 이용을 하고 있었다는 사실 ㅜㅜ

여름철 전기세 걱정하시는분들께 도움이 될만한 정보 공유합니다 ^^

비가 오고 습도가 높은 날은 에어컨 냉방기 능보다 제습기능을 많이 사용하는데요..

 

★제습 가능이 냉방기 능보다 전기세가 적게 나올까요??

2016년도 jtbc팩트체크 방송 참고 설명할게요 ~

 

 

1.  온도면에서만 보면 냉방과 제습이 별다른 효과의 차이가 없다는 것입니다

2.  육안으로 보기에도 패턴도 상당히 비슷하고요. 그 면적이 비슷해 보이는데 논문을 쓴 쪽에 물어봐도 이 면적이 거의 같다고 해서, 다시 얘기해서 양쪽 그러니까 냉방과 제습의 전력소비량이 상당히 같았다는 것을 이 표를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3. 냉방과 제습의 기능에 왜 전력소비량의 차이가 왜 나지 않느냐를 봤는데 그 원리가 같았기 때문입니다.

냉각제가 액체로 바뀌었다가 기체로 바뀌는 과정에서 찬바람이 나오는데 냉방이나 제습이나 냉각 원리가 똑같았습니다.

그래서 똑같은 원리로 똑같이 가동하다 보니까 똑같은 전력이 소비되고 똑같은 요금이 나올 수밖에 없는 것이죠.

 

 

★전기세 절약하는 에어컨 올바른 사용법

1. 방 온도가 높을 때 바로 에어컨을 틀지 않고  뜨거운 바람을 밖으로 충분히 내본 후 가동해주세요

실내온도가 높을수록 실외기 작동이 오래 돌아가기 때문에  전기세의 원인이 됩니다.

처음에는 5분 정도 쌔게 틀어놓고(터보풍) 시원한 공기가 방에 어느 정도 찼다 싶으면 온도를 적정온도로 맞춰서

돌려주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 에어컨 날개는 위쪽을 향하게 해 주세요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더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는 과학적 대류현상으로 공기 순환이 빨라져 실내온도를 더욱 빨리 낮추어준답니다.

3. 전력을 최소화하는 실내온도의 경우 25~26도 사이로 맞춰놓고 껐다 켰다를 반복하지 말고 바람 강약만  조절을 이용해주세요

에어컨은 처음 가동할 때 더욱 많은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기세의 원인이 됩니다

 

 

4. 필터 청소해주세요.

에어컨 필터가 먼지로 인해서 통풍이 잘 안될 경우 냉방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온도를 낮추더라도 실내에 온도가 내려가기까지가 더 오래 걸릴 수가 있어요

깨끗한 바람을 위해서도 필터 청소는 필수랍니다 ~

 

5. 에어컨 실외기 커버 사용하기

올해 여름은 전기세 줄 전기세뿐만 아니라 실외기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도 하나의 걱정입니다.

장시간 햇볕이나 비바람에 노출될 경우에도 과열되거나 전선이 손상될 가능성도 높고, 실외기 주변에 담배꽁초나 휴지와 같은 이물질이 쌓여있으면 불이 붙을 수 있는 가능성도 그만큼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에어컨 실외기 커버는 실외기의 온도를 낮춰서 절전효과를 극대화 하는 제품 입니다

에어컨을 작동 시킨지 얼마되지 않아 실내 기온을 낮추는 효과도 있어 각광을 받고 있어요

 

올해 여름은 전기세 줄이고 더위 이길수 있는 여름을 보내면 좋겠네요 ^^